[ 첫 내원 시 건강 정보 ]
- 성별: 남자
- 나이 : 14세 10개월
- 키 : 147.9cm(1%)
- 체중 : 55kg(41%)
- 성 성숙도 : Tanner 5
- 골연령 : 16세
- Risser sign : stage 5
* 출생력 미숙아 29주 출생체중; 1.35kg 인큐베이터3개월
* 선천적 심장병으로 수술


[치료]
남아 14세 10개월로 사춘기 후반에 해당하는 나이이고 키가 가장 많이 자랄수 있는 시기였습니다. 근데 지난1년간 1cm정도밖에는 자라지 않았고 부모님이 너무 늦게 인식하시고 저희 병원에 내원해 주셨습니다. 특이사항으로 미숙아 29주에 태어나 출생체중 1.35kg이었으며 인큐베이터에 3개월동안 있었습니다. 그 이후 선천적 심장병으로 수술을 몇차례 하였으며 입퇴원을 반복하나 환아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저출생체중아로 태어나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채로 지속적으로 5%미만의 키를 유지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보통 2세정도까지 따라잡기성장을 잘해내면 보통의 아이들과 같이 자랄수 있는데 이 환아같은 경우는 따라잡기 성장에 실패하여 지속적으로 키가 작게 자라온 케이스였습니다.
부모님께서 4~5년전에 성장클리닉에 내원해주셨더라면 충분한 검사로 정확히 진단 후 성조숙증 치료나성장호르몬 치료를 했어야 했는데 부모님께서 너무 늦게 관심을 가져서 안타까운 경우였습니다.
성성숙도가 성인과 같은 정도인 Tanner stage 5였으며 골연령은 16세로 체크되었습니다. 무릎 성장판은 닫혀 있었으며 Risser sign 또한 stage 5로 향후 잔여성장으로 1~2cm정도밖에는 기대할 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최대 150~151cm으로 최종키가 예상이 되었고 유전적 예측키가 174cm로 꽤 컸기에 부모님도 나중에 더 따라서 크겠지 라고 안일하게 생각하신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 환아의 경우는 미숙아, 저출생체중아로 이런 경우 사춘기 시작이 빨리 오게 되며, 사춘기의 총 기간이 짧아 급성장할 수 있는 시기가 짧게 되어 조신장이 되게 됩니다. 반드시 성장호르몬 치료를 같이 해주어야 하며 치료 시 효과를 많이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남아의 경우였는데 150정도의 최종키를 예상하게 되어 매우 안타까운 경우였고 미숙아, 저출생체중아였던 아이들에게 다른 의사분들이 성장시기가 되면 꼭 성장클리닉에 내원하라고 얘기만 해주었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이 남는 순간이었습니다.
[ 첫 내원 시 건강 정보 ]
- 성별: 남자
- 나이 : 14세 10개월
- 키 : 147.9cm(1%)
- 체중 : 55kg(41%)
- 성 성숙도 : Tanner 5
- 골연령 : 16세
- Risser sign : stage 5
* 출생력 미숙아 29주 출생체중; 1.35kg 인큐베이터3개월
* 선천적 심장병으로 수술
[치료]
남아 14세 10개월로 사춘기 후반에 해당하는 나이이고 키가 가장 많이 자랄수 있는 시기였습니다. 근데 지난1년간 1cm정도밖에는 자라지 않았고 부모님이 너무 늦게 인식하시고 저희 병원에 내원해 주셨습니다. 특이사항으로 미숙아 29주에 태어나 출생체중 1.35kg이었으며 인큐베이터에 3개월동안 있었습니다. 그 이후 선천적 심장병으로 수술을 몇차례 하였으며 입퇴원을 반복하나 환아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저출생체중아로 태어나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채로 지속적으로 5%미만의 키를 유지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보통 2세정도까지 따라잡기성장을 잘해내면 보통의 아이들과 같이 자랄수 있는데 이 환아같은 경우는 따라잡기 성장에 실패하여 지속적으로 키가 작게 자라온 케이스였습니다.
부모님께서 4~5년전에 성장클리닉에 내원해주셨더라면 충분한 검사로 정확히 진단 후 성조숙증 치료나성장호르몬 치료를 했어야 했는데 부모님께서 너무 늦게 관심을 가져서 안타까운 경우였습니다.
성성숙도가 성인과 같은 정도인 Tanner stage 5였으며 골연령은 16세로 체크되었습니다. 무릎 성장판은 닫혀 있었으며 Risser sign 또한 stage 5로 향후 잔여성장으로 1~2cm정도밖에는 기대할 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최대 150~151cm으로 최종키가 예상이 되었고 유전적 예측키가 174cm로 꽤 컸기에 부모님도 나중에 더 따라서 크겠지 라고 안일하게 생각하신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 환아의 경우는 미숙아, 저출생체중아로 이런 경우 사춘기 시작이 빨리 오게 되며, 사춘기의 총 기간이 짧아 급성장할 수 있는 시기가 짧게 되어 조신장이 되게 됩니다. 반드시 성장호르몬 치료를 같이 해주어야 하며 치료 시 효과를 많이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남아의 경우였는데 150정도의 최종키를 예상하게 되어 매우 안타까운 경우였고 미숙아, 저출생체중아였던 아이들에게 다른 의사분들이 성장시기가 되면 꼭 성장클리닉에 내원하라고 얘기만 해주었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이 남는 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