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치료가 필요할 땐?


소중한 우리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주기적으로 확인해보세요!

모던랩 TV


강현구원장님께서 직접 알려주시는 

우리 아이 건강관리법!

이벤트


매달 진행되는 다양한 이벤트, 

놓치지 마세요!

엄마들이 

가장 궁금한 질문!


엄마들의 궁금증에 대한 원장님의 답변!

지금 확인해보세요!

모던랩 TV

강현구원장님께서 직접 알려주시는 우리아이 건강관리법!

이벤트

매달 진행되는 다양한 이벤트, 놓치지 마세요! 

프로필 이미지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아이의 키가 얼마나 자라는지는 꾸준히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 아이가 잘 크고 있는지 자가진단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아이의 키를 지속적으로 재고 기록한다 : 키를 재는 시기, 장소, 재는 사람을 일정하게 해야 합니다. 

2. 성장표준 곡선과 비교한다 : 1개월, 3개월마다 한 번씩 성장곡선과 비교합니다. 

3. 1년에 자라는 키를 기록한다 : 1년에 자라는 키가 4-5cm 이하가 될 경우 성장 클리닉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성장클리닉에 꼭 방문하여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또래 연령에 비해 10cm 이상 작은 경우 

- 1년에 자라는 키가 4-5cm 이하가 되는 경우 

- 성장 곡선을 잘 따라가고 있다가 갑자기 이탈한 경우 

- 성조숙증 증상, 사춘기가 일찍오면서 키가 작은 경우 

- 부모님의 키가 작거나 부모님들이 키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프로필 이미지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습관적으로 입을 만족시키기 위해 음식을 먹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공복감을 없애주고 적게 먹는 생활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 니다. 

물을 자주 마시거나, 운동직후 밥을 바로 먹는 것을 피하고 작은 그릇 을 사용해서

시각적으로 양이 많아 보이게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엄마, 아빠 세대에 비해 뇌는 포만감을 느끼면 자연스럽게 식욕을 억제하는데 

포만감을 억제하는 음식(치킨, 피자, 탄산음료 등)이 흔하기 때문에 요즘 아이들이 비만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환경적 요인으로 우리 아이가 비만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생리를 할 당시의 성성숙도, 그리고 골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나라 여자아이의 경우 대개 초경은 사춘기 후반에 나타나고 골연령 상으로 12세 - 13세 사이에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신체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초경을 하면 대개 5-7cm 정도 성장한다고 보고 만약 사춘기 후반을 넘어서 

성인기가 된 몸의 상태나 혹은 골연령 상으로 만 13세 이상이 되서 초경이 나온 경우는 5cm 미만으로 자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가슴이 나오고 나서도 3년이상 된 상태에서 생리가 나온 것이나 이미 성장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생리를 한 경우라고 봐야합니다. 

반면 가슴이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 초경을 한 경우에는 성성숙도가 아직 사춘기 후반이 안 됐거나 

골연령이 미처 12세 - 13세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경을 했다고한 경우는 초경 이후 10cm 이상 자란다고 볼 수 있는 경우로 봐야 하고 

대신 초경 이후 규칙적인 생리를 할 때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이때 키가 많이 자라게 되며 여러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성장이야기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소아성장센터와 함께 성장한 아이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건강매거진

소중한 엄마와 아이를 위한 건강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성장이야기


은평포레스트한방병원 소아센터와 함께

성장한 아이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건강매거진


소중한 엄마와 아이를 위한

건강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